본문 바로가기
정책 정보

서울 경기 청년월세지원 신청 방법과 절차 총정리

by 디마스터스 2025. 3. 18.

 

 

서울 경기 청년월세지원 신청 방법과 절차 총정리

서울시 청년월세지원


도입부 핵심 요약

안녕하세요, 디마스터입니다. 오늘은 청년월세지원에 대해 알아볼 거예요.

💡 바쁜 분들을 위해 핵심만 먼저 전해드리겠습니다.
- 서울 청년월세지원은 만 19~39세 이하 청년을 대상으로 월 최대 20만 원, 최대 12개월까지 지원합니다.
- 경기도 청년월세지원은 만 19~34세 이하를 대상으로 월 최대 20만 원, 최대 24개월까지 지원합니다.
- 신청은 서울주거포털(서울) 또는 복지로(경기) 등 온라인을 통해 가능하며, 오프라인 신청도 주민센터 방문으로 진행됩니다.
- 중위소득 기준주택 보증금, 월세 범위가 핵심 조건이므로 꼼꼼히 확인해야 합니다.

이 글 하나로, 신청 서류부터 절차 그리고 실사례까지 한눈에 정리해 드릴게요.

서울 청년월세지원 절차와 조건

서울에서 거주 중인 만 19세~39세 이하의 청년이라면, 서울 청년월세지원을 고려해 볼 만합니다.

지원 조건
- 연령: 만 19세~39세 이하
- 소득: 본인 기준 중위소득 150% 이하, 부모 포함 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임차주택: 보증금 8천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
- 거주 요건: 서울시 거주 1인 가구

지원 금액
- 월 최대 20만 원 / 최대 12개월(총 240만 원 한도)

신청 절차
1) 온라인 신청: 서울주거포털(홈페이지)에서 서류 제출
2) 오프라인 신청: 주민센터(동주민센터) 방문
3) 구비서류: 지원금 신청서, 소득·재산 신고서, 서약서, 임대차계약서 사본, 월세 이체 증빙(최근 3개월), 통장 사본 등

전문가의 조언: 서울 지역은 신청 시즌에 경쟁률이 꽤 높으니, 공고가 뜨는 시점을 유심히 지켜보시고 바로 신청하시는 게 좋습니다.

 



📌 참고로, 부모님이 집주인인 경우나 서울시가 운영하는 다른 월세 지원과 중복되는 경우 등은 지원 대상에서 제외됩니다.

 


🔑 관련 링크로 이동하여 직접 신청해 보고 싶다면 아래 버튼을 이용하세요.

 

 

서울주거포털 신청 바로가기

 

 

경기도 청년월세지원 절차와 조건

경기도에 거주하는 청년은 복지로를 통해 신청 가능합니다.

지원 조건
- 연령: 만 19세~34세 이하
- 소득: 청년 독립가구 기준 중위소득 60% 이하, 원가구 기준 중위소득 100% 이하
- 주택: 보증금 5천만 원 이하, 월세 70만 원 이하
- 기타: 무주택이어야 하며 경기도에 주민등록이 되어 있어야 함

지원 금액
- 월 최대 20만 원 / 최대 24개월(총 480만 원 한도)

신청 절차
1) 신청 기간: 2024년 2월 26일 ~ 2025년 2월 25일
2) 온라인: 복지로(홈페이지)에서 신청
3) 오프라인: 주소지 관할 행정복지센터 방문
4) 구비서류: 신청서, 소득·재산 신고서, 서약서, 임대차계약서 사본, 월세이체 증빙, 통장 사본, 청약통장 사본

실제로 선정되면 매달 25일에 지원금이 지급된다고 하니, 서류만 완벽하게 준비하신다면 혜택을 누릴 수 있어요.

전문가의 조언: 경기 지역은 신청 후 약 45일 정도의 소득·재산 심사를 거치므로, 미리 서류를 갖추고 여유를 두고 신청하는 것이 좋습니다.

🚀 간단히 복지로 누리집을 방문하시려면 아래 버튼을 클릭해 보세요.

 

복지로 바로가기

기타 지역 월세지원

서울, 경기 외에도 인천이나 타 시·도에서 별도로 청년월세지원을 운영하고 있습니다.

대표적으로 인천형 청년월세지원이 있는데, 최대 24개월 동안 월 20만 원씩 지급하고 있어서 총 480만 원까지 받을 수 있죠.
해당 지역에 거주하거나 전입 예정인 청년들은 꼭 관할 지자체 청년포털이나 행정복지센터에서 확인해 보세요.

기타 지역에서도 정부의 청년 월세 한시 특별지원으로 전국 어디서나 월 최대 20만 원을 12개월 동안 지원받을 수 있으니, 주거 불안정이 느껴진다면 꼭 알아보시길 바랍니다.

청년월세지원 주요 비교표

항목 서울 경기 인천
연령 범위 만 19~39세 만 19~34세 만 19~39세
지원 금액 월 최대 20만 원 (12개월) 월 최대 20만 원 (24개월) 월 최대 20만 원 (24개월)
보증금 제한 8천만 원 이하 5천만 원 이하 5천~8천만 원 이하 (정책별 상이)
월세 제한 60만 원 이하 70만 원 이하 대체로 60~70만 원 이하

Q&A (자주 묻는 질문)

아래는 독자분들이 가장 많이 궁금해하시는 질문입니다.

결론 및 다음 단계

여기까지 서울·경기 청년월세지원의 조건신청방법을 함께 살펴봤습니다.

특히 월세와 보증금 기준, 중위소득 판단, 중복 신청 여부 등이 까다롭기 때문에 제출 서류와 조건을 꼼꼼히 살펴보셔야 해요.

연도별 기준중위소득-년도별(2017년~24년) 1인가구에서 7인가구까지의 기준중위소득 내용입니다.

구분 1인 2인 3인 4인 5인 6인 7인
2017년 1,652,931 2,814,449 3,640,915 4,467,380 5,293,845 6,120,311 6,946,776
2018년 1,672,105 2,847,097 3,683,150 4,519,202 5,355,254 6,191,307 7,027,359
2019년 1,707,008 2,906,528 3,760,032 4,613,536 5,467,040 6,320,544 7,174,048
2020년 1,757,194 2,991,980 3,870,577 4,749,174 5,627,771 6,506,368 7,389,715
2021년 1,827,831 3,088,079 3,983,950 4,876,290 5,757,373 6,628,603 7,497,198
2022년 1,944,812 3,260,085 4,194,701 5,121,080 6,024,515 6,907,004 7,780,592
2023년 2,077,892 3,456,155 4,434,816 5,400,964 6,330,688 7,227,981 8,107,515
2024년 2,228,445 3,682,609 4,714,657 5,729,913 6,695,735 7,618,369 8,514,994
2025년 2,392,013 3,932,658 5,025,353 6,097,773 7,108,192 8,064,805 8,988,428





결론적으로, 월 최대 20만 원이라는 지원은 적지 않은 금액이므로 놓치지 말고 챙기는 것이 좋습니다.
이후 계획은 다음과 같습니다:

1) 관할 포털 또는 주민센터에서 신청 가능 여부 먼저 확인.
2) 제출 서류 준비(임대차계약서, 월세 이체 증빙, 소득·재산 서류 등).
3) 온라인 혹은 오프라인으로 신청 후 자격 심사 결과 대기.

지금 바로 내 소득·재산 기준을 점검하시고, 지원 대상에 해당된다면 오늘이라도 신청 절차를 시작해 보세요.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